한의학의 간(肝)은 정확히 무엇을 가리키는 말인가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영한의원 작성일07-07-11 14:52 조회4,532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한의학에서 말하는 간(肝)은 정확히 오른쪽 상복부의 liver를 가리키는 용어가 아니어서 현대의학과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내부장기를 독립적이 아닌 기능계로 통합하여 다루어 왔습니다.
한의학에서 말하는 간은 liver
이외에도 혈액, 근육, 눈, 담낭, 기(氣)의 소통 기능을 포괄하며 족궐음간 경락이 지나가는 부위인 정수리, 옆구리, 아랫배의 기능과 관계가
있습니다.
한의학에서 말하는 간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소통기능입니다. 기운이 소통되어야 혈액이 원활히 순환하고 정상대사가
일어나는데, 스트레스나 억울, 억압에 의해 간의 기운이 뭉치는 것이 간질환의 시작이 됩니다.
간의 기운이 뭉치는 것을
간울(肝鬱) 또는 간기울결(肝氣鬱結)이라고 합니다. 억울해서 한숨이 나오고 답답한 상태에 해당합니다.
간기울결은
간양상항(肝陽上亢), 간양화풍(肝陽化風) 등 증상으로 발전하는데 간의 주요병증에 대해 현대의학과 비교하여 말씀드릴까
합니다.
간양상항(肝陽上亢) : 간기울결이 진행되거나 간음(肝陰)이 부족한 경우 간양이 항진되면 어지럽거나 머리가 아프고
귀가 울리며 얼굴과 눈이 붉어집니다.
간양화풍(肝陽化風) : 간양상항이 진행된 것인데 열기가 누적되어 풍기가 발생되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어지러움과 두통이 진행되고 풍이 뇌에 영향을 끼쳐 손발떨림, 뻣뻣함, 침흘림, 안면신경마비, 중풍 등 증상이
생깁니다.
간화상염(肝火上炎) : 간음부족이나 간양상항 증상이 진행되고 화기가 머리와 눈으로 올라와 두통, 어지러움, 급성결막염,
안구충혈, 이명, 안면홍조, 조급, 구강건조, 인후염, 급성담낭염, 중이염 등 증상이 생깁니다.
열극생풍(熱極生風) : 간화상염이
진행되고 열이 심해 뇌증상으로 경련, 항강, 뇌염, 혼수 등 증상이 생기는 것입니다.
간혈부족(肝血不足) : 간은 혈액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데 간혈이 부족해지면 어지러움, 안색창백, 시력감퇴, 안구건조, 이명, 다몽, 생리불순 및 조기폐경 등 증상이
생깁니다.
혈허생풍(血虛生風) : 간혈부족이 진행되어 근조직이 혈액의 영양공급을 제대로 못받고 경련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합니다.
간음부족(肝陰不足) : 음이 부족하면 양이 상대적으로 과잉항진되어 안면홍조, 불면, 신경쇠약, 생리불순, 갱년기장애,
도한 등 증상이 생깁니다.
간기부족(肝氣不足) : 간은 혼(魂)의 정신기능을 주관하기 때문에 간기가 부족해지면 겁이 많고
무기력해집니다.
간기범위(肝氣犯胃) : 간담의 상호작용으로 지방분해 효소를 원활히 분비하지 못하면 만성적인 소화장애가
생깁니다.
간담습열(肝膽濕熱) : 술이나 기름진 음식이 습(濕)과 열(熱)의 형태로 간에 염증을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 황달,
발열, 피로 증상이 생깁니다. 간열증(肝熱症)과 함께 급만성간염 상태에 해당합니다.
습열하주(濕熱下注) : 간담의 습열 요인이
비뇨생식기에도 작용해 염증을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 질염, 방광염, 음부소양, 음부습진 등 증상이 생깁니다.
간옹증(肝癰症) :
간의 염증이 고름성으로 진행된 간농양을 말합니다.
간적증(肝積症) : 간염이 진행되어 간경화와 간암이 된 상태를
말합니다.
간궐증(肝厥症) : 간기능부전으로 독소물질이 혼수상태를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
한체간맥(寒滯肝脈) :
간경락이 아랫배를 지나가면서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한기(寒氣)가 골반부의 혈행 및 생리장애를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
본원에서는 이와같은 간기능계 기능을 정상화시키는 전신치료로 혈액, 근육, 눈, 담낭 질환 및 어지러움, 두통,
이명, 안충혈, 급성결막염, 안구건조, 안면홍조, 손발떨림, 뻣뻣함, 침흘림, 안면신경마비, 중풍, 구강건조, 인후염, 급성담낭염, 중이염,
다몽, 신경쇠약, 조급, 경련, 항강, 뇌염, 혼수, 생리불순, 조기폐경, 갱년기장애, 도한, 두려움, 피로, 급만성간염, 질염, 방광염,
음부소양, 음부습진, 간농양, 간경화, 간암 등 증상을 치료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